본문 바로가기
영양학

[지역사회영양학] 지역사회영양학의 개념적 모델

by 1시간전 발행됨' 2024. 8. 15.

지역사회영양학
지역사회영양학


 

 지역사회인의 영양과 건강증진을 이루기 위해서 지역사회 영향의 대상, 지역사회 영양 활동지역사회 영양 목표의 세 가지 요소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소와 정책 결정 등이 지역사회 영양학의 학문적 대상이면서 지역사회 영양학의 내용이 된다. 지역사회 영양 활동과 지역사회 영양 목표 간의 상호작용은 각종 영양 활동과 영양 사업, 영양서비스와 영양교육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1. 지역사회 영양학의 대상
 

 지역사회 영양학은 영양 현상을 집단에 초점을 맞추며, 집단은 가족과 같은 작은 집단을 비롯해 지역으로는 도시, 농촌, 어촌도서 벽촌, 산촌, 등 시, , 군의 주민과 국민 전체가 대상이 될 수도 있고인접 국가를 연관시켜 생각할 수도 있다. 지역사회의 종류는 구조적 사람에 대해서는 연령, , 인종취약 상태별로 대상 집단을 묶어서 다룰 수도 있다. 때에 따라 사회, 경제적 요인을 대상 집단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식습관, 음주, 흡연, 가족생활 양상 등 공통된 생활 습관을 포함할 때도 있다.
 지역사회 영양학은 주 대상은 건강한 사람반건강인, 질병이 매우 경미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영양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건강의 유지와 증진, 그리고 질병 발생을 예방하는 활동을 체계적으로 요구한다.


2. 지역사회 영양의 목표

 

 지역사회 영양의 목표는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한 영양과 건강증진이며 이를 위한 정책 결정이 포함된다. 지역사회 영양 활동으로는 영양 사업, 영양서비스급식 제공과 영양교육이 있다. 지역사회 영양 활동 과정은 건강진단, 영양지침 및 기준 확인, 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목적설정목적 달성을 위한 방법 선택, 집행계획, 집행, 평가 등의 일련의 과정이다.


3. 지역사회 영양 활동의 수단

 

 지역사회 영양 활동의 수단에는 영양지원과 급식 지원, 영양상담실 운영, 방문 및 순회, 자원 활동 및 의뢰 집단지도, 상담 및 면접매체 활용을 연구 개발하는 과학적 실천 등이 있다.


4. 지역사회 영양 활동

 

 지역사회 영양 활동은 지역주민이나 국민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영양취약지역이나 계층을 대상으로 영양 사업을 실시해 나간다. 따라서 생리적인 면의 영양이나 건강 측면과 아울러 경제, 사회 전반과 인간의 심리, 문화 등의 식생활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알아야 한다영양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강영양 활동의 이론을 토대로 영양 활동을 계획하고 실시해야 한다.
 건강영양 활동에 유용한 이론은 크게 세 단계 수준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개인 수준에서 개인의 식 행동이나 건강 습관을 바꾸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이론은 세 가지로서, 개인과 개인 혹은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둔 이론, 그리고 지역사회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는 이론 등으로 제시된다개인 수준은 건강 신념 모델계획 행동 이론과 변화 단계 이론이 있다.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이론은 사회인지 이론, 사회지원이 있으며, 지역 사회 수준은 변화확산 이론이 있다.


[지역사회 건강, 영양의 연구 방법]

1. 영양 역학

 

 지역사회 건강영양 활동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때 많은 부분 역학적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영양학 분야에서의 역학 연구를 영양 역학이라고 이른다. 역학은 기본적으로 질병의 발생 원인과 경로를 알아보는 학문이다. 영양역학은 질병의 원인 중 특히 영양적 원인에 초점을 맞추기도 하고 특정 식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연구하기도 한다. 지역사회 영양학에서는 특히 변화할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내는 데 관심이 있는데 이는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통해서 변화시키고자 함이다.

 

영양역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지표들의 정의를 보면 아래와 같다.
발생률: 위험군 중 새 발생 건수
유병률: 위험군 중 기존 건수와 새 발생 건수의 합계
조출생률: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
영아사망률: 출생아 1000명당 한 살이 되기 전 사망하는 영아 수
모성사망률: 출생아 만 명당 출생 관련 사망하는 모성 수
조사망률: 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
연령-사망률: 인구 1000명당 특정 연령대의 사망자 수
원인-사망률: 인구 1000명당 특정 원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


 영양 역학 연구는 크게 기술 연구와 분석연구로 나뉘며, 분석연구는 관찰 연구와 실험연구로 나뉜다.

 

(1) 관찰연구, 생태학적 연구

 

 생태학적 연구는 주로 한 시점에서 자료 수집이 이루어지는 횡단적 연구가 주를 이루는데, 인과관계를 설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 한 시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므로 어떤 요소가 원인이고 결과인지는 결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2) 분석적 연구

 

 분석적 연구는 환자-대조군 연구와 코호트 연구 방법이 있다. 환자-대조군 연구는 질병을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집단을 나누어 과거에 일어났던 식 행동 등이 질병 발생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 연구 방법이다. 예를 들면 짠 음식 섭취와 위암의 관계를 알고 싶다면 환자-대조군 연구에서는 위암 환자군과 대조군을 구성하여 어느 집단에서 짠 음식 섭취가 많았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코호트 연구 방법은 관심 있는 질병 원인 요소를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로 집단을 구성하여 추적하여 어느 집단에서 질병이 더 많이 발생했는지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코호트 연구에서는 짠 음식 섭취 군과 비 섭취 군을 구성하여 일정 시간 후에서 어느 집단에서 위암 발생이 높았는지를 알아본다. 이 경우 횡단적 단면 연구와는 달리 시점이 두 개 혹은 그 이상 존재하므로 인과관계 설정에 도움이 된다.

 

(3) 실험, 중재 연구

 

 실험, 중재 연구는 인과관계를 설정하는 가장 적절한 연구 방법이다. 그 이유는 원인 요소를 실험군과 대조군에 무작위로 선정하여 가능한 바이어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 과정은 연구에 적당한 모집단을 무작위로 집단을 나누고 어느 집단이 대조군이 되고 실험군이 될지도 무작위로 정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 추적한 후 발병률을 알아보아서 비교하게 된다.
영양 역학에서는 인과관계를 알아볼 때 가장 많이 쓰는 지표가 상대적 위험이다. 즉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질병 발생률을 비교하는 것이 이 지표이다.

관련 내용 자세히 알아보기